사회복지

갈등에 대한 관점과 자원봉사 조직의 갈등, 갈등관리 방안

Mint Latte 2023. 4. 1. 13:36
반응형

  갈등은 서로 다른 이해와 관점을 가진 사람들 간의 충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갈등은 일상적인 삶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조직 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갈등은 갈등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관리되어야 한다.

 

  갈등을 해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상호 대화이다. 갈등 상황에서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은 갈등의 원인을 이해하고 상황을 해결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호 대화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상호 대화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때로는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자원봉사 조직에서 갈등은 자원봉사자 간 또는 자원봉사자와 조직 간의 갈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자원봉사자 간의 갈등은 일반적으로 자원봉사자들 간의 의견 차이와 불만족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조직과 자원봉사자 간의 갈등은 보상, 적절한 지원, 일정, 역할 등과 같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자원봉사 조직에서 갈등을 관리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상호 대화 : 자원봉사자들 간 또는 자원봉사자와 조직 간의 갈등이 발생하면, 상호 대화를 통해 상황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호 대화를 할 때는 상대방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필요로 한다.

  2. 중재자의 지원 : 갈등 상황에서 중재자가 필요한 경우, 조직에서 중재자를 지원해줄 수 있다. 중재자는 갈등 상황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상호 대화를 돕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3. 보상 및 인센티브 제공 : 적절한 보상이나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이 더욱 만족스럽게 자원봉사를 할 수 있으며,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봉사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4. 역할 분담 :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자원봉사자들 간에 역할 분담이 불평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직에서는 역할 분담을 재조정하여 갈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5. 교육 및 훈련 : 갈등 상황에서 조직은 자원봉사자들에게 갈등 관리 기술을 교육하고 훈련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들이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고, 상호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6. 피드백 제공 : 조직은 자원봉사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이 자신의 역할과 활동에 대해 더욱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갈등이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7. 갈등 예방 및 관리 계획 수립 : 자원봉사 조직에서는 갈등 예방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갈등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봉사자들 간 의견 조율을 위한 회의나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갈등 예방에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갈등 상황에서는 상호 대화와 함께 상황에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갈등이 발생하면 빠르게 대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