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한국과 미국 사회복지 강령의 차이점

Mint Latte 2023. 3. 25. 11:00
반응형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서로 다른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1. 대상 인식 

 

    한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가족, 지역사회, 사회안전망 등 공동체 중심의 접근 방식을 중시한다. 반면, 미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개인 중심의 접근 방식을 중시하며, 가장 취약한 개인을 우선 대상으로 하는 것을 강조한다. 

 

2. 제공 방식 

 

    한국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정부나 지자체에서 직접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미국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정부와 민간 기관, 비영리 단체 등이 협력하여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지원 방법 

 

    한국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현금 지원과 같은 직접적인 방법보다는 취업 지원, 교육, 훈련, 상담 등을 통해 개인이 스스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미국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현금 지원 등 직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의 기본적인 생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강조한다. 

 

 4. 성격 

 

    한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보호, 지원, 혁신을 중심으로 하며,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추구한다. 반면, 미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개인의 자립성을 중요시하며,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강조한다. 

 

5. 사회적 분담 

 

    한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국가와 지자체가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강조한다. 반면, 미국의 사회복지 강령은 개인과 가족, 기업, 비영리 단체 등 모든 사회 구성원이 사회복지에 참여하여 사회적 분담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6. 예산 

 

    한국의 사회복지 예산은 국가 예산의 일부를 할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미국의 사회복지 예산은 대부분 연방 예산에서 할당되며, 주별로 차이가 있다. 또한, 미국의 사회복지 예산은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 비영리 단체, 개인 등 모든 사회 구성원이 참여하여 조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한국과 미국이 각자의 문화, 역사, 정치체제 등에서 기인한 것이며,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대상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728x90
그리드형